본문 바로가기

Spring-study🌱/SpringBoot-JPA53

Section 1-3. View 환경 설정 View 환경설정에 대해 알아보자. thymeleaf 템플릿 엔진 thymeleaf 공식 사이트: https://www.thymeleaf.org/ 스프링 공식 튜토리얼: https://spring.io/guides/gs/serving-web-content/ 스프링부트 메뉴얼: https://docs.spring.io/spring-boot/docs/2.1.6.RELEASE/reference/html/boot-features-developing-web-applications.html#boot-features-spring-mvc-template-engines HelloController를 만들고 hello메서드를 만들어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실어 뷰에 넘길수 있도록 하였다. return값으로 "hello"를 .. 2022. 5. 13.
Section 1-2.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Gradle에서 스프링 부트 및 테스트 라이브러리를 살펴보자. 스프링 부트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spring-boot-starter-web spring-boot-starter-tomcat: 톰캣 (웹서버) spring-webmvc: 스프링 웹 MVC spring-boot-starter-thymeleaf: 타임리프 템플릿 엔진(View) spring-boot-starter-data-jpa spring-boot-starter-aop spring-boot-starter-aopspring-boot-starter-jdbc HikariCP 커넥션 풀 (부트 2.0 기본) hibernate + JPA: 하이버네이트 + JPA spring-data-jpa: 스프링 데이터 JPA spring-boot-starter(공통).. 2022. 5. 13.
Section 1-1. 프로젝트 생성 https://start.spring.io/ 해당 사이트에서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만들어 주었다. 그리고 GENERATE를 통해서 프로젝트 파일을 받은 뒤 인텔리제이에서 연다. Getter,Setter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lombok을 사용하기 위해 Enable annotation processing 부분을 체크해준다. 프로젝트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해보자. 서버 실행 성공 프로젝트 생성하고 서버를 켰다가 다시 정지 시켰을때 Bulid cancelled while execution task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 이 원인은 환경 문제로 해결법은 아주 간단하다. 윈도우의 경우 File - Setting - build,Execution, deployment - Build Tools .. 2022. 5. 12.